➤ | FX마진거래는 투기적 수요에 입각한 위험한 거래 |
- | 각종 책자ㆍ투자 교육 사이트 등에서 단기ㆍ고수익 투자 수단으로 홍보되고 있으나, 실거래시 그 만큼 손실가능성도 큼 |
➤ | 높은 거래비용을 수반한 고비용 투기 |
- | 결과적으로 해외시장에서 이종통화간 거래를 하는 것이므로, 환전시마다 높은 스프레드 비용을 지불 |
➤ | FX마진거래와 관련한 불법 행위에 연루될 수 있으며, 2차ㆍ3차의 사기피해에도 노출될 우려 |
- | 국내 파생중개업자를 거치지 않은 FX거래는 자본시장법상 불법이며, 불법거래를 위한 외화 송금도 외환거래법령 위반 |
- | 이 경우 자본시장법상 투자자보호 장치가 적용되지 않으며, 불법거래와 관련된 사기ㆍ횡령 등 2차 투자피해 발생시에도 구제수단 없음 |
- | 특히, 모든 종류의 FX거래를 권유·중개·알선하는 인터넷 홈페이지, 투자방 등 운영자들은 무허가 파생영업으로 5년 이하 징역형 대상 |
- | 또한 이러한 무허가업자들이 개설한 계좌를 이용하여 거래(주문ㆍ송금 등)할 경우, 금융실명법 등 위반 |
【FX마진거래 가상의 투자사례】 1. 개인투자자 ○○씨는 600만원(5,000달러)으로 지난달부터 FX마진거래를 시작 FX거래 무료교육을 받으면서 소액투자만으로 거액의 단기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*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됨 * 소액의 자금으로도 20배의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대박을 터뜨릴 수 있으며, 환율등락에 관계없이 이익을 낼 수 있고, 수수료도 건당 1달러밖에 안된다는 내용 2. ○○씨는 5,000달러를 가지고 100,000달러 상당의 EUR/USD 1계약을 1.3983에 매수하여 큰 수익을 기대하였으나 달러화가 강세(1.3783)를 보이는 바람에 반대매매를 당하는 등 약간의 가격변동으로 240만원*의 손실 발생 1.3983 - 1.3783 = 200pip** × $100,000 = $2,000 = 240만원 ** pip(price interest point) : 0.0001 3. ○씨는 이후에도 큰 수익을 기대하며 FX마진거래를 지속하였으나 전문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손실, 거래비용* 부담도 증가 * ○○씨가 하루에 평균 5회의 FX매매를 하는 경우 매일 약 $130의 거래비용 지급 |